본문 바로가기

코드스테이츠101

pre-project 기능완성, 배포 뭔가 중간에 블로그 한 번 썻어야 하는데 이것저것 한다고 못썼다.. 앞서 완성된 기능에 서버와 통신하는 코드를 작성하여 실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코드를 작성했다. 내 파트에서는 home화면에서 질문 리스트 전체를 받아서 페이지네이션으로 렌더링 하는 부분과, 질문 작성 페이지에서 submit 버튼을 누를 때 서버에 post 요청을 보내는 부분이 있었다. 질문 작성 POST 요청 먼저 post 요청쪽은 코드가 거의 완성되어 있어서 이쪽부터 작업을 했다. 지금은 아무 기능도 없는 submit 버튼에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하여 버튼을 누르면 post 요청이 되도록 코드를 작성했다. post 요청은 별 무리없이 잘 되는것 같은데, 버튼은 누르면 메시지가 나오고 끝나는 것 같아서, 좀 더 사용자 경험을 좋.. 2023. 4. 29.
pre project 기능 구현 UI merge 각자 만든 UI를 pull request 를 통하여 dev-front branch에 merge 했다. 각자 맡은 페이지에서 작업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충돌이 많이 일어나지는 않았다. App.js에서만 어느정도 충돌이 일어나고 나머지는 무난하게 병합된 것 같다. issue와 pull request 를 연결하니까 pull request가 병합되니 바로 issue가 닫혔다. 중간에 pull request를 main에 요청해서 main 에 병합되는 사소한(?) 실수가 있었지만 revert로 어떻게든 돌려놓았다. 그다음에 무서워서 일단 main branch는 보호하도록 설정을 해놓았다. 백엔드 쪽이 아직 구현이 완성되지 않아서 일단 프론트쪽은 기능 구현을 먼저 하기로 했다. 기능 구현 질문 리스트 .. 2023. 4. 23.
pre-project 사전 작업, UI 만들기 사전 작업 저번주에 만든 기획안(사용자 요구 정의서, 화면 정의서, 테이블 명세서, API 명세서)를 바탕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단계로 넘어가기전에 사전 준비 작업을 진행하였다. 기술 스택 및 코드 컨벤션 가장 먼저한 작업은 기술 스택을 무엇을 사용할지 정하는 것이었다. 사실상 다른것은 거의 고정이었고 전역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무엇을 쓸지가 주요 쟁점(?)이었다. Redux, Redux-toolkit, Recoil 세 후보가 있었는데, 현업에 가면 거의 무조건 사용하게 될 거 같은 Redux를 사용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고, Redux를 쓸꺼면 굳이 기존 Redux가 아니라 공식문서에서도 추천을 하고 있는 Redux- toolkit을 사용하기로 했다. 그리고 협업에서 각자 코드 스타일이 달라서(띄어쓰기.. 2023. 4. 19.
pre project 시작! 4월 11일, 드디어 그룹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랜덤 조원 배정이라고 하는데, 실제 현업에서도 어떤 동료를 만날 지 모르기 때문에 랜덤 매칭으로 진행한다고 한다. 프론트엔드 4명, 백엔드 3명이 한 조가 되어서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었다. 프로젝트 주제는 stackoverflow라는 사이트를 클론 코딩하는 것이다. 약 2주짜리 짧은 프로젝트여서 그런지 주제를 정해놓고 기획은 stackoverflow사이트를 보면서 연습하는 정도로만 진행하는 것 같다. 여기서 한 번 연습해보고 메인 프로젝트에서 연습해본것을 바탕으로 기획을 실제로 해보는 구성인 것 같다. 스택오버플로우 사이트를 탐험해봤는데, 원래는 그냥 질문과 답변만 하는 사이트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기능이 엄청나게 많이 들어있다는 것을 알.. 2023. 4. 15.
Section4 회고 큰거 온다.... 이론적으로(그리고 약간의 실습으로) 배우는 과정이 끝났다. Section 4에서는 기본적이 내용보다는 언젠가는 필요한 좀 더 심화된 내용들을 주로 배운 것 같다.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일단은 기본기를 다지는데 좀 더 집중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것들이 많은데 벌써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한다는게 무섭기도 하고 기대되기도 한다. 혼자 이것저것 만들어봤는데 확실히 만들어보는게 좀 더 머리에 남는 느낌이다. 프로젝트가 힘들 거 같긴한데 프로젝트 하면서 실력이 많이 는다고 하니까 프로젝트를 열심히 만들어봐야 할 거 같다. KEEP ⓵ 알고리즘 문제 하루에 1~2문제 풀기 ⓶ 규칙적인 생활 하기 - 이제 좀 익숙해진거 같기도 하고? ⓷ 일일 블로깅하기 - 오늘을 마지막으로 일일정.. 2023. 4. 10.
4/10 일일정리 기술면접 준비 Section4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면접 준비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1. Hoisting과 Temporal Dead Zone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설명하세요. Temporal Dead Zone이란 let이나 const로 변수를 선언할 때 값 할당 이전에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Javascript에서 변수는 Hoisting이 되어 코드가 실행되기 이전에 환경 레코드에 등록되는데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등록과 동시에 초기화가 되기 때문에 바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let과 const로 선언한 변수 같은 경우 Hoisting은 되지만 초기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선언문을 만나기 이전까지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코드의 첫 부분부터 선언문을 만나기 이전까지 let과 c.. 2023.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