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맘대로 개념정리7

PR 요청 후 Rebase and merge버튼으로 합치기 과정중 발생한 회사에서 처음으로 PR 요청을 하고나서 리뷰 폭탄(....)을 열심히 고친 후 dev 브랜치에 합치게 되었다. 팀원분이 rebase 후에 merge를 하면 된다고 하신다. 근데 PR 버튼에 보니까 Rebase and Merge라는 메뉴가 보인다. 이걸 쓰라는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일단 조사해보기로 했다. 취업 전 그룹 프로젝트를 할 때는 PR 후 바로 merge를 진행했었는데, rebase는 들어만 봤지 정확히 어떻게 하는지 까지는 알 지 못하는 상태였다. 이왕 이렇게 된거 merge와 rebase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고 내가 처한 오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Merge and Rebase 개념 작업한 branch를 dev나 main branch에 합칠 때 자주 사용되는 두가지 개념이다... 2023. 12. 11.
Javascript Class로 배열 만들어보기 객체와 배열 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객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고, typeof로 타입을 출력해보면 object라고 나온다. 배열의 형식을 보면 key가 0과 양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는 객체라고도 할 수 있다. 배열이 객체와 다른점 중 꽤 중요한 부분이 '순회가 가능하다.', 즉 이터러블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key가 0과 양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고, 이터러블 프로토콜을 만족하도록 Class를 작성하면 배열 비슷하게 사용할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 만들어 보기로 했다! 이터러블이란? 이터러블은 ES6에서 도입된 개념으로 '순회가능한' 자료구조를 만들기 위해 ECMAScript 사양에 정의하여 미리 약속한 규칙이다. 이터러블 프로토콜을 만족하는 객체를 이터러블이라고 한다. 이터러블 프로토콜 - S.. 2023. 10. 13.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개발자는 이러한 다양한 방법중에 개발 목표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을 할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방식과 관점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는 것을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란 뭐가 좋다라는 개념이 아니라 프로그래밍을 하는 방식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개발 목표나 환경에 따라 적절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면 된다.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여러 언어의 여러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것을 폴리글랏(polyglot) 이라고 하는데, 기존과 달리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고려해야 하는 환경이 다양해지고, 또는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여러 툴, 프레임워크, 언어가 등장.. 2023. 1. 13.
XML 과 JSON 1.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W3C 표준으로 여러 특수 목적의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용도에서 권장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이다. XML은 주로 다른 종류의 시스템, 특히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쉽게 주고 받을 수 있게 하여 HTML의 한계를 극복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XML의 특징 ⓵ XML과 같은 구조화된 마크업 언어들은 인간의 읽고 분석하여 이해하는 능력과 컴퓨터의 단순한 계산적인 판독 능력 사이에 타협점을 만들어 줄 수 있다. ⓶ 공유 가능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정의하고 저장할 수 있다. 사전 정의된 규칙(DTD, 스키마)을 사용하면 수신자가 이러한 규칙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읽을 수 있으므로 모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XML 파일로 손.. 2023. 1. 3.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 1. 콜백 함수란? 콜백 함수는 매개변수를 통해 다른 함수의 내부로 전달되는 함수를 말한다. 함수안에서 실행되는 또다른 함수라고 할 수 있다. JS에서 함수는 일급객체이기 때문에 다른 함수의 매개변수로 등록할 수 있다. function repeat(n, f) { for (var i = 0; i nu.. 2022. 12. 31.
계산기 CSS 정리 1. CSS 파일 만들 때 Global Variable 지정해보기 css파일도 Javascript 파일과 마찬가지로 코드가 길어지면 가독성이 나빠지고, 같은 값이 반복이 될 때가 많다. Global Variable으로 변수처럼 값을 지정하면 어떤값을 지정한 것인지 바로 보이고, 나중에 값이 바뀔 때 한번에 바꿔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측면으로도 좋다. :root { --red: #b00; --blue: #00b; --fullwidth: 100%; } /* ... */ h1 { color: var(--red); } #MyText { color: var(--blue); width: var(--fullwidth); } 2. 활용하면 좋은 기능들 ⓵ reset.css 같은 다른 사람들이 미리 짜 놓은 자.. 2022.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