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Memo1 3/22 일일정리 Virtual DOM, useMemo, useCallback Virtual DOM DOM 리마인드 브라우저는 화면을 그리기 위해 DOM을 사용한다. 브라우저는 javascript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html에 접근하기 위해 html태그들을 트리구조로 객체화 한다. 이렇게 객체화된 html 문서를 DOM, Document Object Model 이라고 한다. 웹페이지의 규모가 커지다 보면 이러한 DOM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DOM에 변경사항이 생기면 DOM을 재구축하고, 리플로우와 리페인트가 일어나게 되는데 DOM의 크기가 크면 이러한 과정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또한 변경사항이 없는 컴포넌트나 요소들도 DOM 재구축 과정에서 삭제되고 재생성 되기도 하고, 다시 리플로우가 일어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비효율을 해결하기 위해 Vir.. 2023. 3.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