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

2/28 일일정리 웹표준과 SEO

강물둘기 2023. 2. 28. 14:18

1.웹표준

개념

웹 표준이란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의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되는 표준이다. 표준화 단체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권고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웹표준의 목적은 사용자가 다양한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출처 : https://cocobi.tistory.com/170

웹 표준의 장점

⓵ 제작 및 유지 보수 용이

콘텐츠의 올바른 구조화와 시각표현을 통일해서 제어하게 되어서 웹페이지 제작 부담이 감소하고 관리하기 편해졌다.

 

⓶ 웹 접근성,웹 호환성 향상

요즘에는 다양한 운영체제, 브라우저같은 소프트웨어 환경,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노트북등 다양한 기기로 웹사이트에 접근한다. 표준화된 웹이 있으면 다양한 환경에서 접근해도 동등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⓷ 검색 효율성 증가

웹표준에 맞추어 웹사이트를 제작하면 검색 엔진에 최적화(SEO)되어 검색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⓸ 웹의 효율성 증가

불필요한 마크업이 없고, 효율적인 소스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 사이즈와 필요한 서버 공간이 줄어들어 페이지 로딩속도가 향상된다.

 

Semantic HTML

웹 표준에서는 Semantic한 HTML 요소를 사용할 것을 중요시한다. Semantic 하다는 것은 각각의 HTML 태그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 코드스테이츠

단순히 div와 span으로만 마크업을 하는 경우에는 이 웹사이트의 구조는 파악할 수 있지만 다른 어떤내용도 파악할 수 없다. 하지만 여러가지 시멘틱 요소를 사용하여 마크업을 하는 경우 좀 더 많은 정보를 마크업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시멘틱 요소의 장점

시멘틱 요소를 사용하면 여러 개발자가 협업하여 웹페이지를 개발할 때 마크업만 보고도 대략적인 구성이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좀 더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검색 엔진(SE)은 검색을 할 때 시멘틱 요소에 따라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중점적으로 검색할 요소를 판단하는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가 있는 요소는 우선순위가 높은 시멘틱 요소를 사용하면 검색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시멘틱 요소를 사용하면 웹 접근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화면 판독기로 페이지를 탐색할 때 시멘틱 마크업을 푯말로 사용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시멘틱 요소

시멘틱 요소 설명
<header> 페이지 최상단의 머릿말
<nav> 메뉴, 목차
<aside> 문서와 연관이 있지만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요소
<main> 메인 컨텐츠
<article> 게시글, 기사 등 독립적인 구분이 필요한 요소
<section> 문서의 독립적인 구획
<hgroup> 제목 표시 (<h1> ~ <h6>)
<footer> 페이지 최하단 꼬릿말

 

크로스 브라우징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이란 여러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에 접근할 때 동등한 화면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브라우저마다 렌더링 엔진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코드의 웹사이트도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크로스 브라우징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기획을 하고 기획을 바탕으로 개발할 때 사용하는 코드가 여러 브라우저에서 호환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 (많은 브라우저에서 호환이 가능한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거 같다.)

출처 : MDN

개발을 완료한 후 테스트과정을 거쳐야 한다. 안정적인 데스크탑 브라우저(크롬, 사파리,엣지 등)에서 테스트하고, 모바일 및 태블릿 PC 브라우저에서도 테스트하고, 여러 운영체제에서도 테스트를 해봐야 한다. 

 

만약 테스트 과정에서 문제를 발견한다면 문제가 발생하는 곳을 특정하고 특정 브라우저에서 해결 방법을 찾아야한다. 조건문을 사용하여 특정 브라우저에서는 다른 코드를 진행하도록 분기를 하는것이 좋다.

 

 

2. SEO

검색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는 검색 엔진으로부터 웹사이트 트래픽의 품질과 양을 개선하는 과정이다. 검색엔진의 작동방식(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맞게 웹페이지를 구성하여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올 수 있게 한다.

출처 : Google 검색 센터

 

SEO는 on-Page SEO와 off-Page SEO 두가지로 나뉜다.

off-Page SEO는 웹사이트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검색 엔진 최적화로 소셜 미디어 홍보, 백링크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웹페이지의 내용이나 구조와는 상관없다.

on-Page SEO는 웹페이지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검색 엔진 최적화로 제목과 콘텐츠, 핵심 키워드의 배치, 효율적인 HTML 요소 사용법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SEO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⓵<title> 태그

 검색 결과창에 제목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여 간결하게 작성하는것이 중요하다.

 

⓶<meta> 태그

 메타 데이터를 담는 요소이다. 메타 데이터란 해당 웹페이지가 다루는 데이터가 어떤것인지 알려주는 데이터이다.

메타 데이터 출처 : 코드스테이츠

⓷ h group 요소 (<h1> ~ <h6>)

검색 엔진에게 h group 태그의 검색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h group요소에 핵심 키워드를 작성해두면 SEO 에 유리하다. 똑같은 키워드를 반복하는 것은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⓸ 콘텐츠

 웹페이지에서 개성있고 유니크한 콘텐츠를 다룬다면 검색 상위에 뜰 가능성이 높다. 제목이나 내용 뿐만 아니라 독특한 이벤트나 콘텐츠를 만드는 것도 SEO를 위한 방법중 하나이다. 

반면에 다른 웹 사이트의 내용을 복사하거나 따라하면 SEO가 제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제목이나 설명글은 최대한 간결하게 하여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것이 좋다.

이미지의 경우에는 검색엔진에 의해 검색이 안되기 때문에 img태그에 alt 속성으로 이미지 설명을 넣거나 꼭 필요한 경우에만 img태그로 작성하고 나머지는 글로 작성하여 최대한 검색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meta 태그  open graph 사용 실습

위와 같이 메타 태그를 작성하면 카카오톡에 링크를 남길 때 제목과 내용설명이 나온다.

 

body에 이미지가 있으면 그 이미지가 첨부되어 나온다.

 

링크 이미지를 바꾸고 싶으면 meta 태그에  프로퍼티 속성으로 og:image를 추가하고 원하는 이미지를 콘텐츠 속성에 넣어주면 된다.

 

 

Reference

- http://www.smartebiz.kr/new/subpage02_02.html

- https://cocobi.tistory.com/170

- 위키백과

- 코드스테이츠